평소 호흡을 할 때 코로 숨 쉬지 않고 입으로 숨을 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제가 그런 경우입니다. 그래서 더욱 구강호흡을 하면 안 되겠다고 느꼈고 하면 안 되는 이유와 제가 교정했던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천천히 하나씩 확인해 주세요.
구강 호흡 하면 안 되는 이유
1. 목과 관련된 질병이 많이 생깁니다.
- 기본적으로 입으로 숨 쉬는 구호흡이기 때문에 구강 쪽과 목구멍 쪽에 자극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나쁜 공기와 먼지들 까지 모두 입 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입 안에 침이 말라 살균력이 떨어져 구강쪽과 목구멍 쪽에 질병이 쉽게 생기게 됩니다.
2. 잇몸이 약해져 치아가 빠지는 현상이 나타 날 수 있습니다.
- 갑자기 무슨 소리인지 궁금하실 텐데 사실입니다. 구호흡을 하기 때문에 치아 부분 잇몸에 바람 및 공기가 부딪히게 되고 건조해지면서 치아 부분 잇몸이 밀려들어가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누적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해당 잇몸이 약해지게 되고 썩지도 않았는데 그 잇몸의 치아가 흔들리며 빠지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풍치 라고 합니다.
3. 얼굴이 비대칭형이 될 수 있습니다.
- 사실 어렸을 때부터 구강 호흡을 한 분이라면 현재 보기에 비대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아데노이드형 얼굴이라고 하는데 치아의 부정교합과 얼굴 비대칭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교정하는 방법
원론적으로 정확하게 입을 다무셔야 합니다. 사실상 간단한 말이지만 가장 어렵기도 합니다. 평생 구강 호흡을 했기 때문에 그 습관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항상 머릿속으로 입을 다물고 있자고 의식하셔야 하며, 인위적으로라도 입을 다무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이 잠을 잘 때인데 아무리 의식하고 잔다고 해도 입을 벌리고 자는 것은 습관에서 바꿀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구와 같은 물건으로 도움 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예를 들어 코숨 테이프 같은 것인데 잠 자기 전 입술을 테이프로 막아 아예 입을 벌리고 자지 못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이 테이프의 도움을 많이 받았으며 몇 년 동안 사용 중인데 효과가 매우 좋습니다. 아침마다 목이 칼칼하고 마른기침이 많았는데 잠 잘 때라도 구호흡을 줄이니 목 관련 질병이나 기침도 현저히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구강 호흡을 하면 안 되는 이유와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기본적인 것은 입을 닫는 것, 어떻게 해서든 코로 숨을 쉬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댓글